최종편집 2024-04-16 12:59 (화)
제주 항파두리 항몽 유적 외성 ‘동문지’ 실체 확인 박차
상태바
제주 항파두리 항몽 유적 외성 ‘동문지’ 실체 확인 박차
  • 승인 2022.12.02 12: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2월 3일, 제주 항파두리 항몽 유적 외성 7차 발굴조사 학술자문회의 개최
▲ 사적 제주 항파두리 항몽 유적 동문지 및 보도시설 발굴 현장 모습.
▲ 사적 제주 항파두리 항몽 유적 동문지 및 보도시설 발굴 현장 모습.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본부장 변덕승)는 사적 '제주 항파두리 항몽 유적' 외성의 동문지(東門址)의 실체를 밝히기 위한 학술자문회의를 12월 3일, 제주시 애월읍 고성리 655-3번지 일원 발굴조사 현장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외성 남동쪽 구간 발굴조사 결과, 2021년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동문지의 동측 문확석(문을 고정시키는 돌)에 대응하는 서측 문확석을 비롯한 보도시설 추가 발굴로 동문의 실체를 가늠할 수 있게 됐다.

▲ ‘제주 항파두리 항몽 유적’ 6차(2021년), 7차(2022년) 발굴조사 대상지
▲ ‘제주 항파두리 항몽 유적’ 6차(2021년), 7차(2022년) 발굴조사 대상지

 이번 외성 7차 발굴조사는 2021년 6차 발굴조사 구간을 확장해 동문의 형태와 구조를 보다 명확하게 밝히고, 향후 외성(토성) 정비・복원사업과 연계해 추진하기 위한 것이다.

 2022년 문화재청 국고보조사업의 일환으로 1억3,600만원(국비 95, 도비 41)을 투입해 (재)제주고고학연구소에 의뢰해 추진(2022.8.29~12.26.)하고 있다.

▲ ‘제주 항파두리 항몽 유적’ 6, 7차 발굴조사 전경
▲ ‘제주 항파두리 항몽 유적’ 6, 7차 발굴조사 전경

 이번 7차 발굴조사는 2021년 6차 발굴조사 시 확인된 문확석 1매를 매개로 위치상 동문지가 서쪽으로 연장될 것이란 가능성을 열어 두고, 동문의 전체 구조양상을 살피기 위해 2002년 기 복원된 토성 일부에 대한 발굴조사를 실시했다.

 조사결과, 문확석은 동-서 방향으로 총 2매가 배치됐고 문확석 상부에는 홈을 파서 확쇠(문을 여닫을 때 쓰이는 회전축의 장치)를 고정한 것을 확인했다. 확쇠간 추정거리는 326㎝로, 확쇠에서 남쪽으로 인접해 문설주(문짝을 끼워 달기 위해 문의 양쪽에 세운 기둥) 홈과 문턱도 추가로 확인했다. 문턱은 확쇠와 문설주 홈 사이에 동-서 방향으로 얕게 조성한 구조로 보아 문을 내측으로 열고 닫는 내개형 구조의 문이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 ‘제주 항파두리 항몽 유적’ 6차 발굴조사시 확인된 동측 문확석

  ◆ 문확석(2매) 출토 현황

구분

문확석 규모()

확쇠 규모()

문설주 홈 규모()

비고

길이

두께

외부직경

내부직경

깊이

길이

깊이

동측

131

110

22

25

12

12

21

5

5

 

서측

95

92

24

23

10

10

22

5

10

교란으로 이탈

 
▲ ‘제주 항파두리 항몽 유적’ 7차 발굴조사시 확인된 서측 문확석
▲ ‘제주 항파두리 항몽 유적’ 7차 발굴조사시 확인된 서측 문확석

 성내 도로망과 연결된 내외측 보도시설에서 청자 두침(頭枕, 베개)을 비롯한 접시, 대접 등의 청자류 파편과 함께 철정(鐵釘, 쇠못) 5점의 유물도 출토됐다.

 3일, 학술자문회의를 통해 지금까지 진행된 발굴성과를 심도 있게 논의하는 한편, 향후 해당 유적의 보존 ․ 정비 방향 등에 대한 자문도 구할 예정이다.

▲ ‘제주 항파두리 항몽 유적’ 7차 발굴조사시 출토유물
▲ ‘제주 항파두리 항몽 유적’ 7차 발굴조사시 출토유물

 변덕승 세계유산본부장은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항파두리성 최초로 성문(城門)을 확인하고, 실체를 밝히는 계기가 됐다”며, “향후 항파두리성과 역사적·시기적으로 유사성을 지닌 강화중성에서 확인된 문지와의 비교 ․ 분석을 통해 항파두리성의 원형을 구명해 나가는데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