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04-28 12:36 (일)
해양수산연구원, 정착성 고급어류 자원회복 추진
상태바
해양수산연구원, 정착성 고급어류 자원회복 추진
  • 승인 2023.11.09 16: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다금바리, 구문쟁이 주요 서식처인 대정해역에 어린 물고기 2만마리 방류
▲ 구문쟁이(능성어) 치어 방류.
▲ 구문쟁이(능성어) 치어 방류.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원장 현재민)은 제주연안 자원 조성과 어업인 소득 증대에 기여하기 위해 제주 정착성 바리과 어류인 다금바리(국명:자바리)와 구문쟁이(국명:능성어) 치어 2만마리를 11월 9일, 대정해역에 방류했다.

 바리과 어류의 주 어획지역이자 서식지역인 대정 운진항 외해 암초지역을 선정해 다금바리 1만마리, 구문쟁이 1만마리를 방류했다.

 해양수산연구원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다금바리, 구문쟁이 종자를 지속적으로 방류하고 있으며, 2007년부터 현재까지 56만마리 방류를 추진했다.

▲ 구문쟁이(능성어) 치어.
▲ 구문쟁이(능성어) 치어.

 또한 유전적으로 다양하고 건강한 방류종자 생산을 위해 한국수산자원공단과 함께 어미 유전자 분석, 교배지침 수립, 방류종자 다양성 분석 및 방류효과조사 등을 공동으로 연구하고 있다.

 다금바리와 구문쟁이는 인공사육 시 어미들의 자연산란이 거의 불가능해 인공수정을 통해서만 수정란 생산이 가능하고, 종자 생산과정에서도 다른 어종에 비해 같은 종을 공격하는 공식현상이 심해 종자생산이 매우 어렵다.

▲ 다금바리(자바리) 치어.
▲ 다금바리(자바리) 치어.

 연구원에서는 우량 수정란 생산을 위해 연중 영양제가 혼합된 사료 공급과 성 성숙 유도를 위한 인위적 호르몬 조절 등의 친어 관리를 통해 120일간의 종자생산 기간을 거쳐 이번에 다금바리와 구문쟁이 9㎝급 치어를 방류하게 됐다.

 또한 연구원에서는 능성어 수정란 시험보급과 함께 찾아가는 양식현장 기술지도를 통해 제주수산종자산업 육성을 위한 기술지원과 새로운 양식 대상종 개발 연구도 병행하고 있다.

▲ 다금바리(자바리) 치어 방류.
▲ 다금바리(자바리) 치어 방류.

 현재민 해양수산연구원장은 “제주의 대표 정착성 어종인 다금바리, 구문쟁이의 지속적인 방류를 통해 바리과 어류 자원 조성과 어업인 소득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 자원 조성을 위한 방류뿐만 아니라 양식 현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새로운 양식 품종 개발에도 더욱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모슬포수협의 다금바리 위판량은 2000년대 초 어획량이 1톤 아래로 급감했지만 2010년 이후 어획량이 증가하면서 2020년 한 해에만 10톤 이상이 어획되는 등 자원량이 증가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